안녕하세요 클라우드브릭 홀더 여러분!
지난 번 클라우드브릭 로드맵 공유 후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한 해설서를 전해드렸습니다.
이번에는 블록체인과 매우 밀접한 클라우드브릭의 토큰 이코노미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드리기 위하여 관련 해설서 준비했습니다.
- 토큰 순환 구조
클라우드브릭의 크립토브릭(Cryptobric) 앱 서비스를 활용하여 설명 드리겠습니다.
향후 출시 될 크립토브릭(Cryptobric) v3.0은 여러분의 모바일로 악의적인 접속을 시도하거나 해커 지갑으로의 전송, 혹은 접속하는 웹사이트가 위험한 사이트가 아닐지 등을 분석 및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또한 공격 정보에 대한 수집할 예정이며 수집된 정보와 현재 제공하고 있는 클라우드브릭 웹방화벽 정보들을 취합하여 분석 후 클라우드브릭의 딥러닝 모듈인 Vision을 강화하게 될 것 입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수집된 정보들에 대한 위험정도를 평가하여 재가공된 정보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API화 하여 제공할 예정입니다.
이해를 돕고자 다시 한번 요약하자면 사용자가 크립토브릭 앱을 사용할수록 위협정보등을 모을 수 있으며 모아진 데이터를 검증하여 클라우드브릭 보안에 적용하면 더욱 강화된 보안을 제공할 수 있게 됩니다.
이때 강화된 보안에서 멈추지 않고 다양하게 사용 가능한 형태로 제공하여서 다시 사용자에게 돌려주는 형태가 될 것이며 위협정보등을 수집할 때 적절한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참여를 지속적으로 유도할 생각입니다.
이렇듯 클라우드브릭은 참여, 보상, 확장, 제어 등의 기능들이 작동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계속 보완해 나갈 예정입니다.
2. 토큰의 획득 방법
1)크립토브릭(Cryptobric) 스캔 보상
현재 시행되고 있는 보상정책으로는 크립토브릭(Cryptobric) 앱을 통한 보상 정책이 있습니다. 크립토브릭(Cryptobric) 앱은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크립토 앱(Crypto App)을 스캔하여 위협 여부를 판단합니다. 이렇게 크립토 앱(Crypto App)을 스캔하여 위협 여부를 검사하게 되면 그에 대한 보상으로 주 1회 50CLBK/최대 월 4회(200CLBK)를 스캔 시행한 다음 달에 지급하고 있습니다.(단, 1회 보상 수량은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
2) 위협 데이터 제공 기여 시 보상
크립토브릭(Cryptobric) 앱 업데이트를 통해 해커 정보를 제출하면 그에 대한 보상을 지급하려고 계획중에 있습니다.
3) 위협 정보 리소스 커뮤니티 기여
크립토브릭(Cryptobric) 앱 관련 보상 외에 클라우드브릭 랩스(Cloudbric Labs) > Threat DB(https://labs.cloudbric.com/threatdb)에서 해커 월렛, 피싱 URL, 위협 IP를 제보하시면 위험도 평가를 통해 보상을 드리고 있습니다.
3. 토큰의 유통과 지속가능한 가치 보전을 위한 정책
외부의 영향을 배제하고 클라우드브릭 토큰의 가치를 올리기 위해서는 두 가지 측면이 고려되어야 합니다. 첫 번째는 유통량 조정 정책(총 유통량 중 처분이 가능한 물량을 줄이는 것)과 두 번째는 수요 확대입니다
1)유통량 조정 정책
(1)결제 환불 준비금
DeFi가 확산됨에 따라 거래소를 거치지 않고도 토큰간 스왑이 가능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코인과 토큰의 생태계가 연결될 수 있는 조건이 마련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큰이 외부 경제와 실용적인 연결이 되지 않는다면 암호화 자산 생태계에만 머무르게 됩니다.
클라우드브릭은 상품 결제가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라 생각하였고 이에 크립토브릭 앱 내 기프트샵을 런칭하게 되었습니다.
이렇듯 토큰으로 결제가 가능하게 되었고 이후 구매자의 환불 요청이 있게 되면 법에 의해 이를 처리해줘야 합니다. 이 때 결제를 통해 얻어진 CLBK는 가격 변동성으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 하기 위해 일정량의 CLBK를 최소3개월 동안 보관해야 합니다. 해당 물량이 많으면 많아질수록 당장 처분이 가능한 물량을 줄이는 역할을 하게됩니다.
(2)예치
크립토브릭 3.0이 실 서비스화 되면 해당 보안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혹은 사용자가 이용하게 하기 위해 일정량의 CLBK가 필요하게 됩니다. 이때 개인 사용자들은 위협정보 제공을 통해 지속적으로 얻어진 CLBK를 무료로 예치가 가능합니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크립토브릭 3.0을 활용 할 수록 스테이킹에 소요되는 CLBK가 늘어나게 되어 즉시 처분 가능한 유통량은 줄어들게 됩니다.
(3)API 사용을 위한 예치
크립토브릭과 클라우드브릭 랩스(https://labs.cloudbric.com/), 웹방화벽을 통해 얻어진 위협정보를 API를 통해 개인이나 기업의 거래소나 지갑에 활용을 위해서는 일정량의 CLBK를 예치해야 합니다.
(4)예치풀 확장
스왑서비스의 예치풀 또한 분배토큰 및 거래수수료로 인한 이자율 기대수익 역시 당장 처분 가능한 물량을 줄이는데 기여하게 됩니다.
KLAY-CLBK 페어에 이어 KSP-CLBK 페어와 팬케익 스왑에 CLB-WBNB 페어를 추가한것을 예시로 들 수 있습니다
2) 수요 확대
(1)기프티콘 결제
저희가 기프티콘 판매 시 대부분 일정 할인율을 적용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거래소에서 CLBK를 매수하여 기프티콘을 구매하게 되는 경우에 더 유리한 조건을 만들어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기프티콘 구매 수요를 만들어가고자 합니다.
(2)B2B결제
향후 엔터프라이즈 고객이 클라우드브릭 서비스 사용 시 CLBK로 결제할 수 있는 방법을 지원 할 예정입니다.
위협정보 API를 개발하여 이를 통해 보안을 강화하고자 하는 고객들에게도 CLBK로 결제하는 방법을 예시로 들 수 있습니다.
이 때 결제 시 일정 할인율을 적용하여 거래소를 통해 지속적인 수요를 일으키도록 할 계획입니다
(3)브릿지 지원을 통한 다양한 메인넷과의 연결
향후 다양한 멀티 체인 지원과 다른 토큰들에 대한 Vault, 브릿지를 지원하여 생태계를 확장하고 유동성도 늘릴 계획입니다.
그 첫 번째 프로젝트로 2021년 12월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BSC)과 CLBK를 상호 지원하는 브릿지 서비스를 오픈하고 팬케익스왑에 상장을 하게 되었습니다.
(4)거래소 상장
신규 이용자 확보와 클라우드브릭(CLBK)의 홍보를 위해서도 거래소 상장은 중요한 계획중의 하나입니다.
진행되고 있는 주요 개발과 서비스들이 활성화 하는 시점에 맞춰 추진이 될 예정입니다.
지난 해설서에도 언급했듯이 크립토브릭3.0으로 업데이트 되는 시점이 되면 보안사업과 블록체인사업이 융합하게 됩니다. 기존에 진행해왔던 사업들에도 블록체인을 기반한 보안이 적용될 것이며 CLBK 또한 기존 사업에 적용이 될 것입니다.
블록체인에 대한 회사들의 인식이 개선되고 암호화 자산으로 지불된 비용의 회계처리가 일반화되면 B2B결제에도 CLBK 결제를 지원 할 예정이고 기술적으로는 이미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클라우드브릭이 예비해놓은 2.5억개(서비스 유지 및 관리비용 포함)의 Security Rewards가 다 소진되면 그 이후 Rewards는 클라우드브릭이 시장에서 CLBK를 구매해서 드릴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빠른 소진을 위해 크립토브릭 내 기프트샵에서 CLBK로 결제하여 커피, 피자 등 기프티콘 구매 및 기프티콘을 주변 지인 선물등 소진에 동참해 주세요. 또한 크립토브릭을 주변에 추천하여서 스캔에 대한 보상을 알려주시고 추후에는 해킹된 지갑 신고하여서 많은 CLBK를 보상으로 지급받아 가시는 것도 소진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앞으로도 클라우드브릭은 꾸준히 기술을 개발 발전시켜 사업을 확장시켜 나가려합니다. 이런 클라우드브릭의 성장에 함께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위 내용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전체적인 맥락의 이해를 돕기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세부적이고 기술적인 내용이 실제 적용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